법안,법률 [판결] 65년 만에 밝혀진 군인 사망… “보상금 지급 거부는 권리남용”
페이지 정보
본문
65년 만에 밝혀진 군인 사망 사건에 대해 소멸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사망보상금 지급을 거부한 처분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한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8부(재판장 이정희 부장판사)는 5월 28일 A 씨가 국군재정관리단장을 상대로 제기한 군인사망보상금 지급 불가 결정 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2023구합2012).
A 씨의 부친인 B 씨는 1950년 육군에 입대해 복무 중 1956년 1월 사망했다. 같은 해 11월경 A 씨의 형제가 B 씨를 사망 신고했다. 이후 1997년 7월 육군본부는 B 씨의 사망을 ‘순직’으로 인정하는 재분류 결정을 했다.
군 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는 2021년 10월 B 씨가 1954년 8월 막사 신축 작업 중 산이 무너져 부상을 당했고, 육군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던 중 1956년 1월 사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진상규명위원회는 B 씨의 사망과 군 복무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는 내용의 진상규명 결정을 했다.
A 씨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2022년 10월 국군재정관리단에 군인사망보상금을 청구했다. 하지만 국군재정관리단은 소멸시효가 완성됐다는 이유로 A 씨의 청구를 거부했다. 1956년 11월 이전에 사망통지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망통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5년이 지나 시효의 완성으로 급여청구권이 없어졌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불복한 A 씨는 군인재해보상연금 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했으나 지난해 3월 기각됐고, 이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소멸시효는 완성됐다고 판단했지만, 국군재정관리단의 소멸시효 항변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해 권리남용에 해당한다는 A 씨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특히 재판부는 △A 씨가 B 씨의 사망통지서를 수령하지 못했고 B 씨 사망 당시 만 3세에 불과했으며 △1997년에야 순직이 결정돼 그 이전에 청구해도 인용되지 못했을 것이라는 점 △육군본부는 1997년 순직 재분류 결정을 A 씨에게 통지하지 않아 2021년에야 군사망사고위의 진상규명 결정으로 A 씨가 진상을 알게 된 점 등을 고려했다.
재판부는 “B 씨가 사망한 1956년 1월 및 사망신고가 이뤄질 무렵 A 씨는 만 3세에 불과해 부친의 구체적인 사망경위를 알 수 있었다고 보이지 않는다”며 “A 씨가 군인사망보상금 지급절차 등에 관해 아무런 설명을 듣지 못한 상태에서 군인사망보상금 청구를 하는 것도 사실상 가능해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진상규명위원회가 2021년 10월 ‘망인의 사망과 군 복무와의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는 내용의 진상규명 결정을 함에 따라 비로소 A 씨는 B 씨의 사망경위 및 그에 따른 군인사망보상금 지급청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 이전에는 객관적으로 A 씨가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장애사유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진상규명 결정이 있은 지 약 1년 뒤인 2022년 10월에 군인사망보상금 지급을 청구했으므로 상당한 기간 내에 권리행사를 했다고 볼 수 있다”고 판시하며 “A 씨가 이 사건 규정에 의한 군인사망보상금은 물론 국가배상 등 어떠한 금전적 보상도 받지 못하게 된다는 것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출처 법률신문 안현기자
- 이전글[판결] 법원 "'리베이트 유죄' 동아ST 의약품 가격 인하하도록 한 보건복지부 처분 정당" 24.08.06
- 다음글[판결] 선거 전 180일부터 후보자 지지 문서 살포 금지하는 공직선거법 조항…대법 "과잉금지 원칙 위반 평가될 수 있어" 24.08.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