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저널

LAW FIRM KB

법무법인 KB KB저널

법안,법률 [판결] 무면허 음주운전 4번 했는데 치료감호 청구 안 한 건 잘못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법무법인KB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25-01-16 13:19

본문

반복적으로 음주운전을 저지른 피고인에게 징역형을 선고한 원심이 대법원에서 파기됐다. 대법원은 고위험 음주군에 속하는 피고인에 대해 재판부가 치료감호청구를 검사에게 요구하지 않은 것이 위법하다고 판단했다.

 

대법원 형사1부(주심 신숙희 대법관)는 음주 및 무면허 운전 중 사고를 내고 도주하는 등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운전자 김모 씨에게 징역 3년 8개월과 구류형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지난달 26일 사건을 제주지법으로 돌려보냈다(2024도9537).


[사실관계]

김모(61) 씨(변호인 김현임 법무법인 한울 변호사, 백경원 변호사)는 무면허 상태에서 2022년 11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총 4차례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 0.203~0.250%)을 했다. 이 중 2건은 업무상 과실로 차량 손괴 후 도주한 혐의를 받았다.


[1, 2심 결과]

1심은 공소사실 전부 유죄로 판단해 김 씨에게 징역 3년 8개월 및 구류 20일을 선고했다. 김 씨는 양형부당 등을 이유로 항소했지만 기각됐다. 김 씨는 항소심이 검사에게 치료감호청구를 요구하지 않은 것은 재범의 위험성을 방치한 행위로서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잘못이 있다며 상고했다.


[대법원 판단]

대법원은 전문심리위원을 선정해 의견서를 제출받은 뒤 파기환송했다. 김 씨에 대해 1심과 2심 공판과정에서 형법 제51조에서 정한 양형조건(피고인의 성행, 지능과 환경, 범행의 동기, 범행 후의 정황 등 참착할만한 정상)을 비롯해 변호인이 주장하는 김 씨의 정신병원 입원 병명(알코올 사용에 의한 상세불명의 정신 및 행동 장애 등)이나 김 씨의 정신질환, 정신상태 및 징역형 복역 후 재범위험성과 관련된 양형조사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씨는 알코올을 섭취하는 습벽이 있거나 그에 중독된 자로서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했고, 치료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원심은 김 씨의 알코올 섭취 습벽과 재범의 위험성 및 치료감호시설에서의 치료의 필요성에 관해 정신감정을 실시하는 등 충실하게 심리하지 않은 채 소송절차를 진행해 변론을 종결하고 판결을 선고했다고 봤다. 그러면서 원심의 조치와 판단은 재량의 한계를 현저하게 벗어난 것으로 치료감호청구 요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해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판단했다.

출처 법률신문 안재명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